시민과 어린이의 눈높이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시민들이 직접 참여하여 평화를 느끼고 만들어 갈 수 있도록 분단 상황을 평화롭게 극복하고 평화 공감대를 형성해 한반도에 평화 문화를 확산하기 위해 노력합니다.
시민활동
피스로드/한반도 평화읽기
어린이어깨동무는 한반도 평화와 아이들의 평화로운 미래를 위해 시민들과 함께 다양한 이야기를 나눌 수 있는 한반도 평화읽기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강연, 기행, 방북 보고회 등 다양한 형식의 프로그램을 통해 평화의 소중함에 대한 더 많은 공감대를 이끌어 내고 있습니다.
시민활동
평화여행
어린이어깨동무는 매년 회원들과 함께 평화여행을 떠납니다. 2002년 봄, 평화의 나무를 함께 심고 평화를 기원하면서 시작된 평화여행은 조금 더 가까이에서 분단을 느끼기 위해 2011년부터 DMZ 지역으로 평화기행을 떠나고 있습니다. 평화여행은 어린이, 청소년들에게는 평화감수성 함양을 도와주고 어른들에게는 실천하는 평화를 일깨워주는, 즐겁고 평화로운 시간들입니다.
파주 일대(도라산역, 도라산전망대, 오두산전망대, 보리출판사, 중국군북한군 묘지 등)
2018 파주 평화기행파주 일대(도라산역, 도라산전망대, 오두산전망대, 보리출판사, 중국군북한군 묘지 등)
거창 일대(거창사건 현장, 거창사건 추모공원, 황산 신씨마을, 수승대, 사선대 등)
2017 거창 평화기행거창 일대(거창사건 현장, 거창사건 추모공원, 황산 신씨마을, 수승대, 사선대 등)
강화 평화전망대, 강화 역사박물관, 연미정, 보문사, 석모도 자연휴양림, 교동도 일대 등
2015 DMZ 평화기행 <평화야 함께 걷자_강화도, 석모도, 교동도>강화 평화전망대, 강화 역사박물관, 연미정, 보문사, 석모도 자연휴양림, 교동도 일대 등
DMZ박물관, 통일전망대, 화진포해수욕장, 왕곡마을 등
2014 DMZ 평화기행 <평화야 함께 걷자_고성>DMZ박물관, 통일전망대, 화진포해수욕장, 왕곡마을 등
연천 DMZ 지역, 태풍전망대, 파주 황포돛배 등
2013 DMZ 평화기행 <평화야 함께 걷자_연천>연천 DMZ 지역, 태풍전망대, 파주 황포돛배 등
강원도 철원 평화전망대, 월정리역, 노동당사 등
2012 DMZ 평화기행 <평화야 함께 걷자_철원>강원도 철원 평화전망대, 월정리역, 노동당사 등
가전리습지, 을지전망대, 한국DMZ생명평화동산
2011 DMZ 평화기행 <평화야 함께 걷자_인제>가전리습지, 을지전망대, 한국DMZ생명평화동산
남이섬 세계 책나라 축제
2006 어깨동무 회원 봄나들이남이섬 세계 책나라 축제
실상사(전남 남원군 산내면 입석리)
2003 평화의 공동체 실상사를 찾아서실상사(전남 남원군 산내면 입석리)
시민활동
어린이평화한마당
전쟁을 반대하고 평화의 소중함을 시민들과 함께 느낄 수 있도록 어린이평화한마당을 개최하였습니다.
일시: 2013년 6월 22일 토요일
장소: 서울어린이대공원
내용: 그림과 사진으로 만나는 북녘 친구들, 전래놀이, 평화놀이,
무기장난감을 평화책으로 바꾸기, 보이스오브피스코리아 등
2013 어린이평화한마당 평화의 꽃이 피었습니다일시: 2013년 6월 22일 토요일
장소: 서울어린이대공원
내용: 그림과 사진으로 만나는 북녘 친구들, 전래놀이, 평화놀이,
무기장난감을 평화책으로 바꾸기, 보이스오브피스코리아 등
2015 어린이 평화축제 북녘 친구들과 만나다
일시: 2015년 10월 10일 토요일
장소: 서울어린이대공원
내용: 평화전래놀이, 한반도 평화마을 만들기, 평화박물관,
평화통일놀이터, 평화동요잔치 등
2015 어린이 평화축제 북녘 친구들과 만나다
일시: 2015년 10월 10일 토요일시민활동
6.25를
평화의 날로
전쟁이 시작 된 6월 25일, 전쟁의 상처를 되새기며 증오를 키우는 날로 기념되는 것은 더 이상 없어야 합니다. 지난 2000년부터 2012년까지 어깨동무 어린이회원들은 '평화선언문'을 통해 6.25를 전쟁이 아닌 남북이 화해하고 어깨동무 하는 날로 만들어야 한다고 선언하고, 평화를 실천할 수 있는 몇 가지 다짐을 함께 하며 6.25를 평화의 날로 만들기 위해 노력을 기울였습니다.
시민활동
평화의 행진
어린이어깨동무는 북녘의 기근이 절정에 달했던 1997년 한여름 뙤약볕 아래서 3천여 우리 어린이들과 함께 북녘 친구들을 생각하며 통일동산에서 통일전망대까지 먼 길을 걸었습니다.
이 통일대행진을 시작으로 한반도와 지구촌 어린이들의 안녕과 평화를 기원하는 여러 차례의 행진이 있었습니다. 아직은 남쪽의 최북단 휴전선을 넘어 행진할 수는 없지만 언젠가는 어깨동무의 깃발을 앞세우고 북녘 땅을 걸을 날이 오리라 믿습니다.
어린이어깨동무는 UN경제사회이사회의
협의적 지위를 인정받은 NGO(비정부 기구)입니다.
(사)어린이어깨동무
대표자: 이기범
사업자등록번호: 101-82-08349
통신판매업 신고번호: 2023-서울종로-0487
개인정보관리책임자: 김윤선
(nschild@okfriend.org)
호스팅제공자: (주)누구나데이터
(03069) 서울특별시 종로구 성균관로10길 5 어린이어깨동무
TEL 02-743-7941, 7942 | FAX 02-743-7944 | Email nschild@okfriend.org
후원계좌: 하나은행 555-810001-36304 (예금주: (사)어린이어깨동무)
어린이어깨동무는 UN경제사회이사회의
협의적 지위를 인정받은 NGO(비정부 기구)입니다.
(사)어린이어깨동무
대표자: 이기범
사업자등록번호: 101-82-08349
통신판매업 신고번호: 2023-서울종로-0487
개인정보관리책임자: 김윤선 (nschild@okfriend.org)
호스팅제공자: (주)누구나데이터
(03069) 서울특별시 종로구 성균관로10길 5 어린이어깨동무
TEL 02-743-7941, 7942 | FAX 02-743-7944
Email nschild@okfriend.org
후원계좌 하나은행 555-810001-36304 (예금주: (사)어린이어깨동무)
우리곁의 분단을 만나다, 피스로드 시즌4
■ 1강. 수도 한 가운데 빼앗긴 역사의 흔적, 용산
- 일시 : 2023년 5월 20일
- 강사 : 정영철(서강대 교수)
■ 2강. 같은 공간 변화하는 상징, 정동
- 일시 : 2023년 6월 3일
- 강사 : 권기봉(대한민국 평화기행 저자)
■ 3강. 한국전쟁 민간인 학살의 현장, 골령골과 노근리
- 일시 : 2023년 6월 17일~18
- 강사 : 임재근(대전 산내골령골 대책회의 집행위원장)
우리곁의 분단을 만나다, 피스로드 시즌3
■ 1강. 서울 한복판의 일상 속의 분단역사 현장
- 일시 : 2022년 5월 29일
- 강사 : 한종수(민주주의를 걷다 저자)
■ 2강. 한양도성 따라 만나는 남북 대결의 현장
- 일시 : 2022년 6월 11일
- 강사 : 권기봉(대한민국 평화기행 저자)
■ 3강. 권력의 공간에서 시대의 인큐베이터로, 해방촌
- 일시 : 2022년 6월 25일
- 강사 : 권기봉(대한민국 평화기행 저자)
■ 4강. 역사정의를 일구는 시민의 발자취
- 일시 : 2022년 7월 9일
- 강사 : 김영환(민족문제연구소 대외협력실장)
우리곁의 분단을 만나다, 피스로드 시즌2
■ 1강. 민주주의를 가로막은 남산 VS 민주주의를 맞이한 곳 명동
- 일시 : 2021년 5월 29일
- 강사 : 정영철 (어깨동무 평화교육센터 소장, 서강대학교 공공정책대학원 교수)
■ 2강. 한양도성 따라 만나는 남북 대결의 현장
- 일시 : 2021년 6월 12일
- 강사 : 권기봉(대한민국 평화기행 저자)
■ 3강. 서울 한복판 일상 속의 분단역사 현장
- 일시 : 2021년 6월 26일
- 강사 : 한종수(작가 · 민주올레 진행자)
■ 4강. 역사정의를 일구는 시민의 발자취
- 일시 : 2021년 7월 10일
- 강사 : 김영환(민족문제연구소 대외협력실장)
우리 곁의 분단을 만나다 Peace Road
온라인 강의
■ 식민지와 분단의 역사를 사는 사람들
- 일시 : 2020년 6월 4일
- 강사 : 김영환 (민족문제연구소 대외협력실장), 김명준 (몽당연필 사무총장·영화감독)
■ 1987 민주인권의 길
- 일시 : 2020년 6월 11일
- 강사 : 정영철 (어깨동무 평화교육센터 소장, 서강대학교 공공정책대학원 교수)
■ 아름다운 청년, 전태일과 함께 걷기
- 일시 : 2020년 6월 18일
- 강사 : 박준성 ('노동자 역사 이야기' 저자)
■ 미래의 평화를 향한 격려, 노근리평화공원
- 일시 : 2020년 6월 25일
- 강사 : 황서연 (학산고등학교 역사교사)
■ 청년백범과 함께 걷는 1948 김구 Road
- 일시 : 2020년 7월 2일
- 강사 : 홍소연 (전 백범기념관 자료실장)
현장방문
■ 1987 민주인권의 길
- 일시 : 2020년 7월 4일
- 장소 : 남산 중앙정보부 터 일대
- 강사 : 정영철 (어깨동무 평화교육센터 소장, 서강대학교 공공정책대학원 교수)
■ 식민지와 분단의 역사를 사는 사람들
- 일시 : 2020년 7월 25일
- 장소 : 식민지역사박물관
- 강사 : 김영환 (민족문제연구소 대외협력실장)
■ 아름다운 청년, 전태일과 함께 걷기
- 일시 : 2020년 8월 1일
- 장소 : 청계천 전태일 동상 · 마석 모란공원
- 강사 : 박준성 ('노동자 역사 이야기' 저자)
가이드북
■ 평화의 시선으로 분단을 보다
- 일시 : 2018년 4월 19일
- 장소 : 책방이음
- 강사 : 정영철(어린이어깨동무 평화교육센터 소장, 서강대학교 공공정책대학원 교수)
■ 1987 남산
- 일시 : 2018년 5월 26일
- 장소 : 남산 인권의 길, 경찰청 인권센터(중앙정보부 터, 남영동 대공분실, 기억의 터 등)
- 강사 : 정영철(어린이어깨동무 평화교육센터 소장, 서강대학교 공공정책대학원 교수)
■ 문화로 만나는 평화 - 뮤지컬 '빨래' 함께 보기
- 일시 : 2018년 8월 29일
- 장소 : 동양예술극장
■ 어제의 평양, 오늘의 평양
- 일시 : 2018년 10월 17일
- 장소 : 서울의대 국제관 옥정홀
- 강사 : 이기범(어린이어깨동무 이사장, 숙명여자대학교 교수)
■ 미스터 션샤인을 찾아서
- 일시 : 2018년 11월 28일
- 장소 : 식민지역사박물관
- 강사 : 김영환(민족문제연구소 대외협력팀장)
■ 봄, 길 위에서 평화를 찾다
- 일시 : 2016년 4월 9일
- 장소 : 혜화문, 장수마을, 낙산공원, 동대문 성곽공원, 한양도성박물관, 오간수문 터, 이간수문 등
■ 가을, 길 위에서 평화를 찾다 - 용산미군기지 담벼락 투어
- 일시 : 2016년 11월 12일
- 장소 : 국립중앙박물관, 용산가족공원, 동작대교 북단, 아리랑택시부지, 이태원광장, GATE 3, GATE 16, 전쟁기념관 등